vscode 로 git 커밋 날리면 아예 안보여서 왜 이러나 찾아봤다.
잔디 안 심어지는 문제
알고보니 git config 에 저장된 이메일과 github 아이디에 등록되어 있는 이메일이 다르면 안보인다더라...
그것도 모르고 열심히 날렸음 물론 며칠 안 했지만 다시 복구할 생각하니 머리가 쪼금 아프다.
1. github settings 들어감
2. email 확인
3. 이메일 확인(이때 저는 새로운 구글 이메일 계정 등록 했습니다.)
4. 프로젝트 내 터미널에서 git config user.email 로 등록된 메일 확인하기
5. git config 로 전체적으로 github 에 등록되어 있는 이메일로 변경
하고 나서 git 새롭게 커밋하면 잔디가 잘 들어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근데 문제는 여기서부터... 이미 등록한 커밋은 어떻게 하냐
등록된 커밋 다시 심기
1. git log 로 commit hash 구하기
git log --pretty=format:"%h = %an , %ar : %s" --graph
2. 커밋 번호로 git rebase 하기
git rebase -i --rebase-merges {rebase 할 커밋의 제일 오래된 것으로}
# 처음 commit 부터 하고싶을 땐
git rebase -i -r --root
3. 파일 수정하기
위 명령어를 입력하면 파일이 하나 열리는데 rebase 할 커밋 번호 앞 부분을 pick -> edit 으로 바꾸면 된다.
파일 수정 방법은 'i' 를 누르고 수정한 다음 ':wq' 으로 파일을 나오면 된다.
4. rebase 시 이름과 이메일 주소 지정하고 커밋하기
파일을 빠져나오게 되면 rebase 를 계속 진행할 것인지 물어본다.
git rebase --continue
git commit --amend --author="이름 <이메일주소>"
그렇게 여러 커밋에 대한 수정을 마치면 rebase 성공에 대한 문구가 나온다.
5. 원격 저장소에 push 하기
나는 강제로 --force 를 주고 업로드하려 했지만 오류가 났고..., git 은 --set-upstream 으로 브랜치를 지정하라고 친절하게 알려줬다.
git push --set-upstream origin master
push 까지 다 하면 없던 잔디가 다시 생기는 걸 확인할 수 있다.
참고: https://wellbell.tistory.com/43
github 잔디밭 안 심어지는 현상 해결 및 이미 커밋한 내용 반영하기
1. github 잔디 안심어지는 현상 해결 흔히 잔디밭이라고 불리는 github contributions(activity) 나의 저장소 중 어디라도 commit해서 push해서 반영 시키면 잔디가 심어져야하는데 심어지지 않을때가 있다.
wellbell.tistory.com
'Git & GitHub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Git] 원격 repository 연결 및 commit (0) | 2024.10.25 |
---|---|
[Git] master branch 이름 변경으로 인한 오류 (0) | 2022.09.09 |
댓글